본문 바로가기
정보

🎬 윈도우 무비메이커 음원분리 문제? 초보자도 5분 만에 해결하는 완벽 가이드!

by 191jasfjaea 2025. 11. 21.
🎬 윈도우 무비메이커 음원분리 문제? 초보자도 5분 만에 해결하는 완벽 가이드!
배너2 당겨주세요!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 윈도우 무비메이커 음원분리 문제? 초보자도 5분 만에 해결하는 완벽 가이드!

 

📝 목차

  1. 윈도우 무비메이커, 왜 음원 분리가 안 될까요?
  2. 📌 해결책 1: 원본 영상의 오디오를 제거하는 방법
    • 2.1. 비디오 볼륨 조절 기능 사용하기
    • 2.2. 오디오 트랙을 아예 분리하여 삭제하기 (고급 팁)
  3. 📌 해결책 2: 분리된 오디오 파일을 삽입하는 방법
    • 3.1. 외부 프로그램으로 오디오를 분리하기
    • 3.2. 무비메이커에 분리된 오디오 파일 추가 및 동기화
  4. 📌 해결책 3: 영상을 편집하기 전에 오디오를 미리 추출하기
    • 4.1. 온라인 오디오 추출 도구 활용
    • 4.2. 전문 편집 프로그램의 오디오 분리 기능 활용
  5. ✨ 마무리: 무비메이커 활용도를 높이는 편집 팁

1. 윈도우 무비메이커, 왜 음원 분리가 안 될까요?

윈도우 무비메이커(Windows Movie Maker)는 과거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제공했던 대표적인 무료 동영상 편집 프로그램입니다. 초보자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직관적인 인터페이스 덕분에 많은 사랑을 받았지만, 2017년에 공식 지원이 종료되면서 최신 운영체제에서는 접근성이 낮아졌습니다. 가장 큰 문제 중 하나는 바로 '음원 분리' 기능의 제한성입니다.

대부분의 전문 동영상 편집 프로그램(프리미어 프로, 파이널 컷 등)은 영상 클립과 오디오 트랙을 별개의 요소로 인식하여 자유롭게 분리, 이동, 삭제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무비메이커는 원본 영상 클립에 포함된 오디오를 단일 클립의 일부로 처리하는 경우가 많아, 영상 클립을 자르거나 분할할 때 오디오도 함께 잘려나가는 통합 방식을 따릅니다. 즉, 영상은 그대로 두고 오디오만 따로 편집하거나 삭제하기가 매우 까다롭습니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특정 구간의 배경 음악이나 원본 목소리만 제거하고 싶을 때 어려움을 겪게 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무비메이커에서는 '분리'보다는 '볼륨 조절'이나 '원본 오디오 대체'의 개념으로 접근해야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2. 📌 해결책 1: 원본 영상의 오디오를 제거하는 방법

원본 영상에 포함된 오디오를 완전히 제거하거나 볼륨을 낮추는 것이 가장 기본적인 해결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새로운 배경 음악이나 녹음된 음성을 삽입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 수 있습니다.

2.1. 비디오 볼륨 조절 기능 사용하기

가장 쉽고 빠른 방법입니다. 무비메이커에서 비디오 클립을 타임라인이나 스토리보드에 추가했다면, 해당 클립을 선택한 후 '편집(Edit)' 탭으로 이동합니다. 이 탭 안에 있는 '비디오 볼륨(Video volume)' 옵션을 찾습니다. 이 옵션을 조절하여 볼륨 슬라이더가장 왼쪽(음소거)으로 옮기면, 해당 클립의 원본 오디오가 완전히 제거됩니다. 이 방법은 클립별로 적용할 수 있으므로, 일부 클립만 소리를 없애고 싶을 때 유용합니다.

2.2. 오디오 트랙을 아예 분리하여 삭제하기 (고급 팁)

무비메이커의 '믹싱' 기능은 아니지만, 간접적으로 원본 오디오를 분리하여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1. 클립 선택 및 분할: 타임라인에서 소리를 제거하고 싶은 영상 클립을 선택합니다.
  2. '오디오 복사' 기능 활용: '편집' 탭에서 '오디오' 관련 메뉴를 살펴보면, 때때로 원본 영상의 오디오를 별도의 오디오 트랙으로 복사(Copy)하거나 저장(Save)하는 기능이 숨겨져 있는 버전이 있습니다. 이를 통해 오디오만 따로 분리해낸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상 원본 오디오는 여전히 영상 클립에 붙어 있습니다.
  3. 핵심은 볼륨 조절: 앞서 설명한 '비디오 볼륨' 기능을 사용해서 원본 영상 클립의 소리를 0으로 만들고, 별도로 추출한 오디오 파일만 편집 트랙에 추가하여 간접적으로 제어하는 방식이 현실적인 '분리'에 가장 가깝습니다. 만약 오디오를 '분리'해서 삭제하고 싶다면, 반드시 원본 클립의 볼륨을 0으로 만들어야 합니다.

3. 📌 해결책 2: 분리된 오디오 파일을 삽입하는 방법

원본 오디오를 제거했거나 음소거했다면, 이제 원하는 새로운 오디오를 삽입해야 합니다. 오디오 분리는 무비메이커 외부에서 진행해야 합니다.

3.1. 외부 프로그램으로 오디오를 분리하기

원본 영상 파일(.mp4, .mov 등)에서 오디오 파일(.mp3, .wav)만 별도로 추출하는 전문 도구를 사용해야 합니다.

  • 온라인 변환 도구: "Video to MP3 Converter"와 같은 온라인 무료 변환 사이트를 이용하면, 영상을 업로드하고 오디오 파일만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 오디오 편집 프로그램: AudacityVLC Media Player와 같은 프로그램을 사용하면, 영상 파일을 불러와서 오디오만 추출하는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VLC의 경우, '미디어' 메뉴의 '변환/저장' 기능을 통해 영상 파일에서 원하는 오디오 코덱으로 추출이 가능합니다. 이 방법이 가장 정확하고 깨끗한 오디오 파일을 얻을 수 있습니다.

3.2. 무비메이커에 분리된 오디오 파일 추가 및 동기화

외부에서 추출한 오디오 파일은 이제 무비메이커로 가져와 영상과 동기화하는 작업이 필요합니다.

  1. 오디오 파일 가져오기: 무비메이커 상단의 '홈(Home)' 탭으로 이동하여 '음악 추가(Add music)' 버튼을 클릭합니다.
  2. 파일 선택: 미리 추출해 둔 MP3 또는 WAV 파일을 선택하고 프로젝트에 삽입합니다.
  3. 정렬 및 동기화: 오디오 트랙은 일반적으로 영상 클립 아래에 별도의 '음악' 또는 '오디오' 라인에 표시됩니다.
    • 시작 시간 조절: 오디오 클립을 마우스로 드래그하여 영상이 시작되는 지점 또는 원하는 특정 장면에 맞춰 시간을 정렬합니다.
    • 길이 조절: 오디오 클립의 끝부분을 드래그하여 영상의 길이에 맞게 자르거나 또는 반복되도록 설정합니다.
    • 오디오 믹싱: 만약 원본 오디오를 완전히 제거하지 않고 배경음악과 함께 사용하고 싶다면, 각 오디오 클립을 선택한 후 '음악 도구(Music Tools)' 탭에서 '음악 볼륨(Music volume)'을 조절하여 두 소리의 균형을 맞출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배경음악은 낮게, 원본 목소리는 높게 설정하여 자연스러운 믹싱 효과를 낼 수 있습니다.

4. 📌 해결책 3: 영상을 편집하기 전에 오디오를 미리 추출하기

만약 편집 과정에서 오디오를 더욱 세밀하게 다루고 싶다면, 아예 무비메이커로 가져오기 전에 영상과 오디오를 분리하는 것을 고려해야 합니다.

4.1. 온라인 오디오 추출 도구 활용

간단하고 빠르게 오디오만 추출하는 방법입니다.

  • 웹사이트 검색: 구글이나 네이버에서 '온라인 MP4 오디오 추출' 또는 'Video to MP3 Converter'를 검색합니다.
  • 파일 업로드 및 추출: 대부분의 웹사이트는 파일을 업로드하고, 원하는 오디오 포맷(MP3, AAC 등)을 선택한 후, '변환' 버튼을 누르면 오디오 파일만 다운로드할 수 있게 해줍니다. 이 방법은 보안에 주의해야 하지만, 별도의 프로그램 설치 없이 빠르게 해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4.2. 전문 편집 프로그램의 오디오 분리 기능 활용

더 전문적인 편집 환경(예: DaVinci Resolve(무료), Shotcut(무료))을 단기적으로 활용하여 원본 영상에서 오디오를 완벽하게 분리한 후, 분리된 오디오 파일과 오디오가 없는 영상 파일을 각각 저장합니다. 그리고 무비메이커에는 오디오가 없는 영상 파일만 가져와 편집하고, 오디오 트랙에는 별도로 추출한 오디오 파일을 삽입하여 편집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무비메이커의 제약을 우회하면서도 원하는 편집 결과물을 얻을 수 있는 가장 정밀한 방법입니다.

  • 오디오 없는 영상 만들기: 전문 프로그램에서 영상을 불러온 후, 오디오 트랙을 삭제하고 비디오 파일만 별도로 인코딩하여 저장합니다.
  • 무비메이커 편집: 무비메이커에 인코딩된 오디오 없는 영상을 넣고, 별도로 추출한 MP3 파일을 '음악 추가' 기능으로 삽입하여 작업하면, 마치 영상과 오디오가 분리된 상태로 편집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5. ✨ 마무리: 무비메이커 활용도를 높이는 편집 팁

무비메이커는 전문 프로그램이 아니기 때문에 '음원 분리'에 대한 기대치를 낮추고, '오디오 대체 및 볼륨 조절'이라는 개념으로 접근하는 것이 문제 해결의 핵심입니다. 위의 세 가지 해결책을 통해 원하는 결과물을 얻을 수 있으며, 무비메이커를 더욱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몇 가지 추가 팁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정확한 동기화를 위한 확대: 무비메이커 타임라인에서 '확대/축소(Zoom)' 기능을 사용하면 클립의 길이를 세밀하게 볼 수 있습니다. 오디오 파일을 영상의 특정 지점(예: 입 모양, 박수 소리)에 정확하게 맞추려면 반드시 타임라인을 최대한 확대하여 프레임 단위로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 페이드 인/아웃 활용: 오디오 클립을 선택한 후 '음악 도구' 탭으로 가면 '페이드 인(Fade in)''페이드 아웃(Fade out)' 기능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음악이 갑자기 시작되거나 끝나는 것을 방지하고, 부드럽게 볼륨이 커지거나 작아지게 만들어 영상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 여러 오디오 트랙 사용: 무비메이커는 하나의 주된 오디오 트랙 외에 추가적인 '나레이션(Narration)' 트랙을 지원할 수 있습니다. 녹음된 목소리나 효과음을 추가할 때 이 기능을 활용하여 배경음악과 나레이션을 분리하여 관리할 수 있습니다.

(글자수: 공백 제외 2,285자)